최고 800만 원의 이자소득을 받을 수 있는 청년들을 위한 새로운 적금 상품 '청년도약계좌'가 6월에 출시 됩니다. 정부 지원으로 5천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고금리 상품 내용을 알아보고 미리 계획하시기 바랍니다.
대부분의 청년들이 저축으로 묶어둘 수 있는 돈이 많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나오는 상품 중에는 가장 높은 고금리의 적금 상품입니다.
지금 저축을 계획 중이시거나 가족 중에 청년이 있으면 함께 정보를 공유하세요. 5천만 원의 목돈을 5년간 장기간 가입해야 하는 상품이지만 자유 적립식으로 여유가 있을 때는 많이 넣었다가 적게 넣었다가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청년도약계좌는 가입자가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상품으로, 만기는 5년입니다.
ㅇ (가입대상) 청년(만 19~34세*) 중 개인소득 기준(총급여 기준 6,000만 원 이하는 정부기여금 지급·비과세 적용, 총 급여 기준 6,000~7,500만원은 정부기여금 지급 없이 비과세만 적용)과 가구소득 기준(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대략 3인가족 기준으로 800만 원 정도 되며 나의 소득이 작아도 가족의 소득을 합해서 800만 원 이상이면 안됩니다)을 충족하는 경우 가입할 수 있습니다.
* 병역을 이행한 경우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시 미산입- 40세까지 가능합니다.
- 다만,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이 제한됩니다.
* 금융소득(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이 2,0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ㅇ (기여금 지원) 가입자는 개인소득 수준,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매칭비율은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많은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득구간별로 차등을 두었습니다.
- 개인소득이 4,800만원(총 급여 기준) 이하인 경우 납입한도(월 70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금액을 납입(월 40~60만원)하더라도, 정부기여금을 모두 수령할 수 있도록 기여금 지급한도를 별도로 설정하였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별 기여금 지급 구조>
개인소득 (총급여 기준) |
본인 납입한도(月) | 기여금 지급한도(月) | 기여금 매칭비율 | 기여금 한도(月) |
2,400만원↓ | 70만원 | 40만원 | 6.0% | 2.4만원 |
3,600만원↓ | 50만원 | 4.6% | 2.3만원 | |
4,800만원↓ | 60만원 | 3.7% | 2.2만원 | |
6,000만원↓ | 70만원 | 3.0% | 2.1만원 | |
7,500만원↓ | - | - | - |
ㅇ (금리구조) 청년도약계좌 상품은 가입후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 *가 적용
5천만 원 예시 1.
월 70만원씩 60개월간 적금을 부으면 원금은 4200만원입니다. 여기에 6% 금리를 적용하면 세전이자는 640만5000원으로 총 4840만5000원이 됩니다. 원리금에 기여금 126만원(2만1000원씩 60개월)을 더하면 5000만원에 근접합니다. |
5천만 원 예시2.
원금 4,200만원에 이자랑 지원금, 비과세혜택까지 더해서 약 800 만원의 혜택이 있습니다. (금리 약 8.9%) 매월 70만원 씩 5년(60개월)동안 연 8.9% 금리로 적금에 가입하면 원금 4,200만원 + 세후이자 8,037,635원 = 만기지급액 50,037,635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 3년간 고정 금리이기 때문에 5천만 원의 '청년도약계좌'는 금리 9%가량 상당히 높은 고금리 상품으로 출시 될것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상품의 취급 금융기관과 신청에 대해 6월 이전 공시가 되면 다시 알려드리겠습니다.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가 최대 100만 원 소액생계비대출, 신청방법, 서민금융진흥원 (0) | 2023.03.23 |
---|---|
노들섬 월별 축제, 반려견과 함께하는 놀멍뭐하니, 미식축제, 불꽃축제 (0) | 2023.03.23 |
‘서울페스타 2023’ 외래관광객 유치 여행사에 최대 5백만 원 지급 (1) | 2023.03.21 |
공공기관 합격 노하우 / 채용설명회 (오프라인, 유튜브) (0) | 2023.03.20 |
대중교통수단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3월 20일부터) / 착용유지장소 (0) | 2023.03.17 |
댓글